SANGMYUNG UNIVERSITY

더 똑똑한 공원

쌍령공원 연구 03

조경 빅데이터에도 인공지능 기술 활용 시대, 딥러닝 기반 생물 종 검색 모델을 탑재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본 사업의 성공적인 진행을 위해 산학연 간의 유기적인 연구체계를 확립하였습니다. 담당 지자체인 경기도 광주시는 지역전략산업과의 연계를 통해 사업 총괄인 어반스테이트컴퍼니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습니다. 어반스테이트컴퍼니는 연구를 총괄한 상명대 산학협력단 위탁연구를 수행한 ㈜선도소프트 간의 정기적인 회의를 개최하여 사업의 수행 방향을 논의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본 사업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전문가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여 자문위원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사업 수행 과정을 단계별로 평가하고 자문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였습니다. 지속적인 산학연 간의 협력은 광주시의 우수한 역사 및 예술 정보와 자연경관을 시민들에게 홍보하고 쌍령근린공원 조성의 완성도를 더 높여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Sangmyung University (SMU)

01 연구 개요

상명대학교의 연구 개요입니다.

  • 연구명

    조경 빅데이터에도 인공지능 기술 활용 시대, 딥러닝 기반 생물 종 검색 모델을 탑재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 연구목표

    쌍령근린공원만의 사람-생물-환경-역사를 초연결하는 지능형 플랫폼 구축

  • 대상지

    경기도 광주시 쌍령동 쌍령공원

  • 수행기관

    상명대학교 산학협력단

02 사업 배경 및 목적

상명대학교가 진행한 사업 배경 및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쌍령근린공원은 어린이·역사를 대주제로 어린이와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제공하고 광주의 역사와 예술이 공존하는 공원 조성을 목표로 합니다. 쌍령근린공원이 위치한 마름산은 우수한 자연경관을 가지고 있어 어린이들에게 생태체험과 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시민들은 쌍령근린공원에서 배움과 체험, 성장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시민과학자 양성의 기반이 될 수 있습니다. 본 사업에서는 사람, 환경, 생물, 역사 등 조경 빅데이터를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해 쌍령근린공원 이용객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03 사업 수행 내용

상명대학교가 진행한 사업 수행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사업을 위해 쌍령근린공원 서식 생물, 환경, 역사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였고, 현장에서 사진 촬영과 울음소리 녹음으로 서식 생물을 검색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 및 쌍령근린공원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습니다.

상명대학교 연구

쌍령공원 이야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