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NGGUK UNIVERSITY

더 자연적인 공원

쌍령공원 연구 02

자연환경 조사에 기반한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통한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쌍령공원 관리계획 수립

쌍령공원이 향후 도시지역 산림 근린공원으로서 생물다양성 보전과 시민들에 대한 다양한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쌍령공원의 자연환경 현황을 조사하고, 자연환경현황 및 토지이용 현황을 바탕으로 비오톱 지도를 제작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쌍령공원의 생물다양성 보전 방법 및 생태계서비스 증진 방법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공원시설 계획의 토대로 삼고자 하였습니다.

Dongguk University (DU)

01 연구개요

동국대학교의 연구개요입니다.

  • 연구명

    자연환경 조사에 기반한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통한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쌍령공원 관리계획 수립

  • 연구목표

    생물 다양성 보전과 시민들에 대한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리 계획을 수립

  • 대상지

    경기도 광주시 쌍령동 쌍령공원

  • 수행기관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02 연구 항목 및 내용

동국대학교가 2022년 진행한 연구 항목 및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 항목 연구 내용
대상지 일반 현황 지형분석 지질 및 토양분석
표고, 경사, 향 등 지형분석  
대상지 생태현황 파악 식물분포 및 서식현황 식물상, 현존식생, 주요 보호식물 분포, 주요 관리식물 분포, 식물군집구조 조사 및 분석
동물상조사 육상곤충류, 포유류, 양서·파충류, 조류 현황 분석
무기환경 토양환경, 수환경, 기상 현황 분석
토지이용현황 조사 대상지 인근 토지이용 현황 분석
비오톱 지도 제작 및 평가 토지이용현황, 자연환경조사를 바탕으로 비오톱 유형화 및 평가 진행
생태계서비스 평가 기존 연구된 서울시의 생태계서비스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비오톱을 평가단위로 하는 생태계서비스 실시
쌍령공원 관리계획 수립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한 생물다양성 보전방법 및 생태계서비스 증진 방법 제시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생태계서비스를 증진하는 쌍령공원의 관리계획을 도출

03 공원 관리계획

공원 특성과 공원 시설물을 활용한 관리계획을 제안합니다.

관리계획 1

생태체험 및 산림복지 프로그램

쌍령공원은 도시외곽 지역의 산림형 공원 특성상 다양한 생물상을 가지고 있고, 이를 활용한 생태체험학습 및 산림복지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관리계획 2

수계 관리, 홍수조절 기능 및 지지서비스 보전

공원화가 진행됨에 따라 일부 산림이 주거지로 용도 변경되며 조절서비스 감소 가능성이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공원지역 설계시 기존 존재하는 훼손지 및 폐경지, 나대지 위주의 시설물 설계가 요구됩니다.

동국대학교 연구

쌍령공원 이야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