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NATIONAL UNIVERSITY

더 트렌디한 공원

쌍령공원 연구 01

도시공원 계획설계 및 운영관리
혁신모델 개발 연구

포스트 코로나, 뉴노멀시대에 도시민의 다양한 여가 활동을 담는 공원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는 세계 도시공원의 새로운 조성 방향과 흐름을 파악하고, 도시공원의 디자인과 컨텐츠에 관한 국내외 우수사례를 조사하여 도시민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도시공원의 조성 및 관리 전략을 도출하는 것입니다.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01 연구개요

서울대학교의 연구개요입니다.

  • 연구명

    도시공원 계획설계 및 운영관리 혁신모델 개발 연구

  • 연구목표

    도시공원의 새로운 역할 정립 및 새로운 도시공원의 혁신모델 개발

  • 대상지

    경기도 광주시 쌍령동 쌍령공원

  • 수행기관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02 연구내용

5개의 연구 내용(A~E)을 소개합니다.

03 도시공원 콘텐츠

도시민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는 도시공원의 콘텐츠를 제안합니다.

분석 범위를 광역/근린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습니다. 먼저, 로컬 중심의 생활 전환에 따라 근린 차원에서의 쌍령공원에 적합한 어린이를 위한 공간과 숲 속 도서관을 제안하였습니다. 두 번째, 광역 차원에서는 광주시의 도심과 가까운 거리에 입지하고 마름산이라는 풍부한 숲 자원을 활용하여 지역민과 방문객에게 자연 속에서 문화와 여가를 향유할 수 있는 매력적인 방문목적지이자 광주시를 대표할 수 있는 도시공원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되며, 숲 속 도자기 공방, 공공미술, 아카이브 센터 등 컨텐츠를 제안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연구

쌍령공원 이야기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