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학교 생태환경 연구소

비오톱 도시공원(자연생태계의 활용)

식생을 학문적으로 연구한 생태환경적 공원

An Ecological Park Studied for Its Vegetation

비오톱(Biotope)

'비오톱'은 그리스어 '생명(bios)'과 '장소(topos)'를 합친 말로
식물과 동물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작은 생태 공간을 뜻합니다.

비오톱 도시공원 특징
비오톱 도시공원은 도시 속에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비오톱 도시공원 ‘지속 가능한 쌍령공원’

비오톱 지도 제작 및 평가

경기도 광주시의 비오톱 평가체계에 따라 쌍령공원의비오톱 유형은 대분류로 산림, 조성녹지, 초지로 구분되며, 중·소분류까지 세분화하여 최종비오톱 유형 평가를 진행한 결과, 전체 면적 중 3등급 비오톱이 가장 많고(49.89%), 다음으로 1등급 비오톱(44.62%)이 가장 많았다.

이후 도시환경기능성, 이용성 및 관리강도, 자연성, 생태적 기능성 4개 항목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실시한 개별 비오톱 평가 결과1등급, 2등급 4등급으로 구분되었으며, 일부 사면녹지, 묘지 등이 4등급으로, 그 외 산림, 초지는 1~2등급으로 구분되었다. 개별 비오톱 평가결과 1등급은 63.77%로, 남측 산림내부로 존재하는 경향성이 있고, 2등급은 34.82%로 북측 시가지와 맞닿아있는 방면으로 집중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비오톱 도시공원 ‘지속 가능한 쌍령공원’

쌍령공원 관리계획 수립

최종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고, 생태계서비스를 증진하는 쌍령공원의 관리계획을 도출하였다. 쌍령공원은 도시외곽 지역의 산림형 공원 특성상 다양한 생물상을 가지고 있고, 이를 활용한 생태체험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아파트 주민 및 인근 주거시민을 대상으로 공원 시설물을 활용한 생태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쌍령공원의 문화서비스와 더불어 주민들의 환경 보호인식도 함께 증진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산림복지(숲 태교, 체험, 치유)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능선을 따른 기존 탐방로를 중심으로 거리 기반한 칼로리 계산 안내, 주민걷기대회, 명상, 맨발걷기 프로그램 등이 진행될 수 있다.